본문 바로가기
과학

비행기를 타거나 높은 곳에에 가면 귀가 멍멍해지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기

by 자연사박물관 2025. 7. 17.
반응형

산에 오르거나 비행기를 타고 상승할 때, 누구나 한 번쯤 느껴봤을 귀가 멍멍한 느낌. 아이들은 이 현상에 놀라며 묻습니다.

"왜 귀가 이상해? 소리가 잘 안 들려!"

비행기를 타면 귀가 멍멍해요

 
이건 단순히 귀를 막는 문제가 아니라, 기압과 몸의 정교한 반응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흔한 현상을 과학적으로 5가지 핵심 포인트로 정리해 소개합니다.

비행기를 타거나 높은 곳에에 가면 귀가 멍멍해지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기

귀가 멍멍해지는 진짜 이유는?

귀가 멍해지는 이유는 기압 차이 때문입니다.
우리 귀에는 이관(유스타키오관)이라는 관이 존재하는데, 이건 중이(귀 내부 공간)와 외부 공기 압력을 맞춰주는 통로예요. 비행기처럼 고도가 갑자기 변하면 바깥 기압이 급격히 달라지는데, 이관이 즉시 반응하지 못하면 중이와 외부 사이에 압력 차가 생깁니다. 그 결과, 귀가 먹먹하고 소리가 둔하게 들리는 느낌이 나는 거예요.

귀가 멍해지는 이유는 기압 차이 때문

왜 귀가 막힌 듯한 느낌이 날까?

고도 상승 → 외부 기압 감소 → 상대적으로 중이 기압이 더 높아짐 → 고막이 바깥쪽으로 밀림.
반대로 하강할 때는 외부 기압이 더 높아져 고막이 안쪽으로 밀려 귀가 눌리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이건 단순한 귀 통증이 아니라, 고막이 기압을 견디며 이동하는 구조적 변화입니다.

고막이 기압을 견디며 이동하는 구조적 변화

 

어떻게 하면 멍멍한 귀를 해결할 수 있을까?

✅ 침 삼키기
✅ 하품하기
✅ 사탕 먹기
✅ 코를 막고 살짝 불기 (발살바 방법)
이 모든 행동은 이관을 열어주는 작용을 해서 귀 안과 밖의 기압을 맞춰줍니다.
특히 아이들에게는 하품을 유도하거나 침 삼키기 연습을 해보게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귀가 멍멍하면 하품을 해보세요!

 

👨‍👧 부모 설명 예시

아이: "엄마, 귀가 막힌 것 같아!"

엄마: "그건 우리가 높은 곳에 가서 귀 안에 있는 공기랑 바깥 공기의 힘이 달라졌기 때문이야. 침을 꿀꺽 삼키거나 하품을 하면 다시 맞춰질 거야~"

🧪 요약 실험 사례

실험/이론 주요 내용

항공의학 연구비행 시 귀 통증은 기압 차이로 인한 고막 반응
발살바 실험코를 막고 바람을 불면 이관이 열리는 반응 유도

마무리

아이들과 산에 가거나 비행기를 타는 여행은 좋은 경험입니다.
그 속에서 나타나는 작은 신체 반응조차 과학의 원리로 설명해줄 수 있다면,
아이에게는 세상을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번 귀가 멍멍해질 때는 침을 꿀꺽 삼키며 이렇게 말해보세요.
“아! 이건 기압 차이 때문이야!”
 
<참고영상>
 

728x90
반응형